이 글은 경기도 화성시 건강증진과에서 맡아 관리하는 태아기형아 검사비 지원사업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됩니다.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을 확인해서 정부의 공공서비스, 지원금 및 보조금 혜택을 놓치는 일이 없으시기 바랍니다.
출처
본문의 내용은 대한민국 정부에서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경제 발전을 위해 제공하는 공식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바로가기
항목 번호를 클릭하면 해당 내용을 확인하고 돌아올 수 있습니다.
1. 주요내용
공공서비스 '태아기형아 검사비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입니다.
1.1. 조회수
이 자료는 6,627회 열람되었습니다.
1.2. 서비스ID
553000000582
서비스ID는 공공서비스 고유 식별자입니다.
1.3. 지원유형
- 현금
1.4. 서비스명
태아기형아 검사비 지원사업
1.5. 서비스목적요약
태아기형아 검사비 본인부담금 1인 최대 100,000원 지원(1,2차 검사비 합산)
1.6. 지원대상
검사일로부터 청구일까지 화성시에 주민등록을 둔 임산부(11주~18주)
1.7. 지원내용
○ 대상: 검사일로부터 청구일까지 화성시에 주민등록을 둔 임산부(11주~18주) ○ 지원금액: 검사비 본인부담금 1인 최대 100,000원(1,2차 검사비 합산) ○ 검사항목 및 지원내용 - 1차검사: PAPP-A(태반호르몬 검사), 임산부 제1삼분기 정밀초음파 - 2차검사: 쿼드검사(AFP, hCG, uE3, inhibin A)
1.8. 신청방법
- 정부24온라인신청
- 방문신청
1.9. 신청기한
검사일로 부터 6개월 이내
1.10. 소관기관코드
5530000
1.11. 소관기관유형
시군구
1.12. 소관기관명
경기도 화성시
1.13. 부서명
건강증진과
1.14. 사용자구분
- 개인
1.15. 서비스분야
임신·출산
1.16. 전화문의
- 화성시서부보건소 건강증진과 031-5189-6243
- 화성시동탄보건소 건강증진과 031-5189-5076
- 화성시동부보건소 건강증진과 031-5189-4307
1.17. 등록일시
이 자료는 2024년 2월 28일 오후 3시 28분 23초에 게시되었습니다.
1.18. 수정일시
이 자료는 2025년 5월 2일 오전 11시 51분 39초에 변경되었습니다.
2. 상세내용
공공서비스 '태아기형아 검사비 지원사업'의 상세한 내용입니다.
2.1. 서비스목적
임산부에 대한 임신 시기별 태아기형아 검사를 지원하여 태아기형의 위험성을 조기 발견함으로서 태아의 생존율을 높이고 안전한 출산과 모자보건 증진에 기여
2.2. 신청방법
○ 방문신청: 관할 보건소 방문 접수 - 서부보건소 건강증진과(봉담읍 동화새터길 109) - 동탄보건소 건강증진과(노작로 226-9) - 동부보건소 건강증진과(떡전골로 72-3) ○ 온라인신청: 정부24 홈페이지
2.3. 구비서류
기형아검사 의료비 지원 신청서 1부 1차 및 2차검사 진료비 영수증, 진료비 세부내역서 각 1부 입금계좌 통장사본 1부(지원대상자 명의) 신청인 신분증(대리신청일 경우 대리인의 신분증, 위임장, 신청인과 지원대상자의 관계를 증명하는 서류) 1부 주민등록초본(상세)(청구일 발급분) 1부 외국인의 경우, 외국인등록증 및 외국인등록사실증명서(청구일 발급분) 1부
2.4. 문의처
- 화성시서부보건소 건강증진과 031-5189-6243
- 화성시동탄보건소 건강증진과 031-5189-5076
- 화성시동부보건소 건강증진과 031-5189-4307
2.5. 법령
- 모자보건법 (제3조)
- 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법 (제8조)
2.6. 수정일시
이 자료는 2025년 5월 2일에 갱신되었습니다.
3. 지원조건
공공서비스 '태아기형아 검사비 지원사업'을(를) 받기 위한 지원조건 정보입니다. 그리고 아래의 표에서 는 '지원 가능'을 뜻합니다.
- 여성
- 대상연령(시작): 18세
- 대상연령(종료): 48세
- 중위소득 0~50%
- 중위소득 51~75%
- 중위소득 76~100%
- 중위소득 101~200%
- 중위소득 200% 초과
- 출산/입양
- 다문화가족
- 북한이탈주민
- 한부모가정/조손가정
- 1인가구
- 다자녀가구
- 무주택세대
- 신규전입
- 확대가족
알림
이 페이지는 '태아기형아 검사비 지원사업'의 모든 공식 자료를 수집해 알기 쉽게 소개하기 위해 원본을 편집하는 검증된 과정을 거쳐 작성되었습니다. AI에 의해 만들어진 정보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