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고용노동부 고용지원실업급여과에서 맡아 관리하는 상병급여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됩니다.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을 확인해서 정부의 공공서비스, 지원금 및 보조금 혜택을 놓치는 일이 없으시기 바랍니다.
출처
본문의 내용은 대한민국 정부에서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경제 발전을 위해 제공하는 공식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1. 주요내용
공공서비스 '상병급여'의 주요 내용입니다.
1.1. 조회수
이 자료는 29,303회 열람되었습니다.
1.2. 서비스ID
999000000005
서비스ID는 공공서비스 고유 식별자입니다.
1.3. 지원유형
- 현금
1.4. 서비스명
상병급여
1.5. 서비스목적요약
구직급여 수급자 중 질병, 부상, 출산으로 구직활동이 불가능한 경우 지급
1.6. 지원대상
○ 실업신고를 한 이후 발생한 질병, 부상, 출산으로 취업이 불가능하여 실업의 인정을 받지 못한 수급자격자
1.7. 선정기준
지원대상과 동일
1.8. 지원내용
○ 구직급여 수급 중 발생한 질병, 부상, 출산으로 취업이 불가능하여 실업인정을 받지 못한 날에 지급
1.9. 신청방법
- 기타 온라인신청
- 방문신청
1.10. 신청기한
상병이 치유된 이후 14일 이내 신청 가능
1.11. 소관기관코드
1492000
1.12. 소관기관유형
중앙행정기관
1.13. 소관기관명
고용노동부
1.14. 부서명
고용지원실업급여과
1.15. 사용자구분
- 개인
1.16. 서비스분야
고용·창업
1.17. 접수기관
고용노동부 각 지역 관할 고용센터
1.18. 전화문의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1350
1.19. 등록일시
이 자료는 2020년 12월 17일 오후 2시 26분 13초에 게시되었습니다.
1.20. 수정일시
이 자료는 2025년 5월 16일 오후 2시 28분 44초에 변경되었습니다.
2. 상세내용
공공서비스 '상병급여'의 상세한 내용입니다.
2.1. 서비스목적
수급자격자가 구직급여 수급 중 발생한 질병, 부상, 출산으로 취업할 수 없게 된 경우 구직급여에 갈음하여 지급함으로써 생활안정 및 재취업지원
2.2. 신청방법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하거나 온라인으로 신청
2.3. 민원인이 제출해야 하는 서류
실업인정신청서, 질병·부상·출산 관련 증명서
2.4. 접수기관명
고용노동부 각 지역 관할 고용센터
2.5. 문의처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1350
2.6. 온라인신청사이트URL
2.7. 법령
- 고용보험법 (제63조의0, 제0항)
2.8. 수정일시
이 자료는 2025년 5월 16일에 갱신되었습니다.
3. 지원조건
공공서비스 '상병급여'을(를) 받기 위한 지원조건 정보입니다. 그리고 아래의 표에서 는 '지원 가능'을 뜻합니다.
- 여성
- 대상연령(시작): 18세
- 대상연령(종료): 44세
- 중위소득 0~50%
- 중위소득 51~75%
- 중위소득 76~100%
- 중위소득 101~200%
- 중위소득 200% 초과
- 구직자/실업자
- 다문화가족
- 북한이탈주민
- 한부모가정/조손가정
- 1인가구
- 다자녀가구
- 무주택세대
- 신규전입
- 확대가족
알림
이 페이지는 '상병급여'의 모든 공식 자료를 수집해 알기 쉽게 소개하기 위해 원본을 편집하는 검증된 과정을 거쳐 작성되었습니다. AI에 의해 만들어진 정보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