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보건복지부 장애인건강과에서 맡아 관리하는 발달재활서비스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됩니다.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을 확인해서 정부의 공공서비스, 지원금 및 보조금 혜택을 놓치는 일이 없으시기 바랍니다.
출처
본문의 내용은 대한민국 정부에서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경제 발전을 위해 제공하는 공식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1. 주요내용
공공서비스 '발달재활서비스'의 주요 내용입니다.
1.1. 조회수
이 자료는 17,721회 열람되었습니다.
1.2. 서비스ID
VOU000000050
서비스ID는 공공서비스 고유 식별자입니다.
1.3. 지원유형
- 의료지원
- 이용권
1.4. 서비스명
발달재활서비스
1.5. 서비스목적요약
만 18세 미만 장애 아동에게 발달재활서비스 이용권(바우처) 제공
1.6. 지원대상
○ 지원 대상 - 만 18세 미만의 등록한 장애인(뇌 병변, 지적, 자폐성, 시각, 청각, 언어)으로 국민 기초 생활 보장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의 가구 ○ 연령 기준 - 신청일 현재 만 18세 미만 인자 ○ 기타 기준 - 신청일 현재, 장애인복지법 제33조에 따라 등록한 장애인(뇌병변 병, 지적, 자폐성, 시각, 청각, 언어), 다만 만 9세 미만의 경우 '발달재활서비스 의뢰서'와 검사 자료로 대체 가능
1.7. 선정기준
○ 지원대상 - 만 18세 미만의 등록한 장애인(뇌 병변, 지적, 자폐성, 시각, 청각, 언어)으로 국민 기초 생활 보장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다만 만 9세 미만 장애가 예견되는 아동의 경우 '발달재활서비스 의뢰서'와 '전문의에 의한 검사 자료'를 토대로 서비스 신청 가능 ○ 연령기준 - 신청일 현재 만 18세 미만 인자 ○ 소득기준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별 차등 지원(0~8만원)
1.8. 지원내용
○ 급여액 -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25만원 지원(본인 부담금 면제) - 차상위계층: 23만원(본인 부담금 2만원) - 기준 중위소득 65% 이하: 21만원(본인 부담금 4만원) -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19만원(본인 부담금 6만원)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17만원(본인 부담금 8만원) ○ 서비스 내용: 언어·청능, 미술·음악, 행동·놀이·심리운동 재활서비스 등
1.9. 신청방법
- 방문신청
1.10. 신청기한
상시신청
1.11. 소관기관코드
1352000
1.12. 소관기관유형
중앙행정기관
1.13. 소관기관명
보건복지부
1.14. 부서명
장애인건강과
1.15. 사용자구분
- 개인
1.16. 서비스분야
보건·의료
1.17. 접수기관
주민센터
1.18. 전화문의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1.19. 등록일시
이 자료는 2020년 12월 17일 오후 2시 26분 13초에 게시되었습니다.
1.20. 수정일시
이 자료는 2025년 5월 20일 오후 11시 32분 24초에 변경되었습니다.
2. 상세내용
공공서비스 '발달재활서비스'의 상세한 내용입니다.
2.1. 지원유형
- 이용권
2.2. 서비스목적
성장기 장애 아동에게 적절한 발달재활서비스를 제공하여 기능 향상과 행동발달을 지원하고 장애 아동 가족의 경제적 부담 경감
2.3. 신청방법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
2.4. 민원인이 제출해야 하는 서류
- 사회복지서비스 및 급여 제공(변경) -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권(바우처) 제공(변경) 신청서 - 바우처 카드 발급(재발급) 및 개인 정보 제공·이용 동의서
2.5. 접수기관명
주민센터
2.6. 문의처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2.7. 법령
- 장애아동 복지지원법 (제21조)
2.8. 수정일시
이 자료는 2025년 5월 20일에 갱신되었습니다.
3. 지원조건
공공서비스 '발달재활서비스'을(를) 받기 위한 지원조건 정보입니다. 그리고 아래의 표에서 는 '지원 가능'을 뜻합니다.
- 남성
- 여성
- 대상연령(시작): 0세
- 대상연령(종료): 17세
- 중위소득 0~50%
- 중위소득 51~75%
- 중위소득 76~100%
- 중위소득 101~200%
- 장애인
- 다문화가족
- 북한이탈주민
- 한부모가정/조손가정
- 1인가구
- 다자녀가구
- 무주택세대
- 신규전입
- 확대가족
보건복지부의 다른 서비스
더보기알림
이 페이지는 '발달재활서비스'의 모든 공식 자료를 수집해 알기 쉽게 소개하기 위해 원본을 편집하는 검증된 과정을 거쳐 작성되었습니다. AI에 의해 만들어진 정보는 없습니다.